본문 바로가기

Hematology&Oncology

골수검사의 해석 (BM aspiration & Molecular diagnostic test)

Hematology 환자의 경우에는 BM Bx 결과과정이 진단 및 치료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. 이번에는 골수검사지에서 우리가 확인해 볼 수 있는 여러 임상적 의미를 다뤄보려고 한다.

 

◼︎ BM aspiration 

1) 골수도말 표본검사 (Wright-Giemsa염색)
MPO, SBB : AML에서 염색
ANBE : 단구성 AML 감별, AML M4,M5에서 (+)
PAS,TdT: ALL 감별

2) 유세포 검사 (AML or ALL marker)
급성백혈병 진단에 매우 중요, 비정상 발현 표현형등을 검출하여, MRD(minimal residual disease) 검출에도 유용


◼︎ Molecular Diagnostic test

*Polymerase chain reaction(PCR): 중합효소연쇄반응

 1) FLT-ITD
AML의 20%에서 검출. NPM1 mutation, t(15;17), t(6;9) 양성 AML에서 상대적으로 높은 빈도를 보임
NPM1 mutation (+) 이면서 FLT3-ITD (high) 인 경우, NCCN 중증도 위험군으로 분류

2) JAK2 V617F 
필라델피아 음성 골수증식종양에서 가장 높은 빈도로 검출되는 변이

3) MPL: 거의 대부분 exon 10의 germ-line mutation로 ET 3%, PMF 8%에서 검출됨

4) IGH, IGK, IGL, TRB, TRD, TRG : 클론성을 보이는 경우 림프종이나 림프계열 백혈병을 강력히 시사함.

5) STR: 조혈모세포 이식 후 키메리즘 모니터링에 사용.

*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(RT-PCR):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

1) MLL-PTD : AML의 5%에서 검출. 정상핵형 AML,+11 ,RUX1돌연변이와 상관성을 보임. 중등도 , 불량 예후군으로 분류

2) BCR-ABL1: t(9;22)(q34.1;q11.2), 즉 필라델피아 염색체에 의해 발생

3) RUX1-RUX1T1: t(8;21)(q22;22.1)에 의해 발생. 대개 젊은 연령의 AML에서 검출, 양호 예후군으로 분류

4) CBFB-MYH11 : Inv16(p13.1q22) 또는 t(16;16)(p13.1;q22)에 의해 발생, 대개 젊은 연령의 AML에서 검출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양호 예후군으로 분류

5) PML-RARA: t(15;17)(q22;q11-12)에 의해 발생. 모든 연령층에서 검출, AML 아형 중 가장 양호한 예후로 분류

6) DEK-NUP214 : t(6;9)(p23;34.1)에 의해 발생.모든 연령층에서 검출, 불량 예후군으로 분류

*Real-time PCR: 실시간 중합효소연쇄반응

기존 PCR은 증폭이 끝난 후에야 증폭된 DNA를 확인할수 있으나 실시간 PCR은 증폭된 DNA없이도 실시간으로 전개되는 
PCR반 응의 역동학을 분석하여 정량 측정이 가능, 미세잔존암 모니터링에 사용

[Real-time PCR 정량 검사항목]
RUX1-RUX1T1
CBFB-MYH11
PML-RARA
BCR-ABL1
ETV6-RUX1
NPM1

*Sanger 염기서열 분석

1) FLT3-TKD : 전체AML의 7~8%에서 검출, 예후적 의의는 확정되지 않음. FLT3억제제 사용가능

2) NPM1:  전체 AML의 25~30%에서 검출. 엑손 11의 4-bp 중복 또는 삽입 형태를 띰

NPM1(+)/FLT3-ITD(-) or FLT3-ITD(low) 양호 예후군으로 분류
NPM1(+)/FLT3-ITD(high) 중등도 예후군으로 분류

3) CEBPA: 전체 AML의 1~5%에서 검출, 양쪽 대립유전자에서 변이가 발생하는 biallelic 형태만 CEBPA돌연변이로 정의,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양호 예후군으로 분류

4) RUX1: 전체 AML의 5~20%에서 검출, 불량 예후군으로 분류, MDS에서 진행한 AML과 연관

5) KIT: 전체 AML에서 5%미만에서 검출, Core-binding factor AML에서는 25~35%의 빈도를 보임
               특히 exon 17 mutation이 불량한 예후와 연관됨

6) TP53: 전체 AML의 5~20%에서 검출. 불량 예후군으로 분류,  MDS에서도 5~10%에서 검출되며 불량한 예후와 연관됨

* NGS (Next generation sequencing) (본원 검사명: Hematology malignancy, NGS(BM))

차세대 염기서열 분석법은 DNA가닥을 각각 하나씩 분석하는 방식으로 기존의
직접 염기서열분석법에 비해 매우 빠르게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 가능 하다는 장점을 가지고 있음
NGS은 DNA를 일정한 조각으로 분절화 시키고 DNA가닥의 염기서열을 장비에서
읽은 후 장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알고리즘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는 단계로 구성됨

적용)
유전성 혈액질환 및 체세포 돌연변이와 관련된 혈액암의 진단
감별진단, 예후 판단 및 치료 방침 결정에 도움이 됨

Tier 1: 강한 (strong) 임상적 의미가 있는 변이 
Tier 2: 임상적 의미가 있을 가능성 (potential)이 있는 변이 
Tier 3: 임상적 의미를 알 수 없는(unknown) 변이
Tier 4 : 양성(benign) 혹은 양성 가능성이(likely benign) 높은 변이